목록분류 전체보기 (879)
드라마 홀릭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84Va/btq1WJI5q5Q/58M9NnSVYQikWoK5kVOKt0/img.jpg)
장장 한달 남짓 단테와 함께 지옥의 문 입구에서 시작한 여정이 마침내 천국의 최상단 정화천 한가운데를 응시하며 끝이 났다. 천국편은 마지막니까니 더욱 특별한 열심을 다한답시고 역시나 필사에 도전하였는데 그래서 더 고되었단 서른여시간들이었다.... 지옥편은 불교의 지옥도를 연상케 하여 인간 만상이 살면서 지은 주요 죄악들과 그에 상응하는 징벌의 종류들을 관람한다. 그리고 연옥.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건 성경에 명시되지 않은 중세기 카톨릭의 독특한 세계관인데 한마디로 지옥에 보내기엔 뭣하지만 천국에 가기엔 택도 없는 영혼들이 죄업을 완전히 떨치도록 수련한다는 곳. 그런데 여기서는 종교적인 분위기보다는 단테가 속한 피렌체의 정치적 혼란을 드러내면서 바람직한 국가와 사회상을 고민하게 되는 곳이기에 다소 철학적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ViZRR/btq1PozrbEt/gC5K3w6xMupdPVUMb0u6w0/img.png)
단테 신곡 연옥편 강등당한 바울 지옥편 손가락으로 읽기 후 이제 눈으로 읽겠다고 펴든 연옥편. 벅차도다. 30분 단위로 끊어 읽지 않으며 읽다 졸기 일쑤고 ㅋㅋㅋ 그리고 연옥도 역시 보카치오가 그린 그림덕을 봤다. 단테와 비르길리우스가 만나는 ‘절벽’과 오르막길을 덕분에 잘 그려볼 수 있었다. 아직 분노산에 오르고 있는 중에 잠시 글을 쓴다. 연옥 로마카톨릭이 성경을 왜곡해서 상상으로 설정한 연옥의 개념을 부정하고 있기에 단테가 만나는 영혼들의 고행이 모두 부질없이 보인다네. 아니지. 어쩌면 지옥의 또다른 이름같기도. 연옥과 지옥의 차이는 고통의 정도 만이 아니라 천국에 오를 수 있다는 희망의 차이다. 그건 말그대로 하늘과 땅, 천국과 지옥의 차이다! 하지만 이 모든게 다 BULLSHIT! 로카 카톨릭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mH4gc/btq1Wi5ZRUo/qbjjmIBU6DnGhibRHTwZL0/img.jpg)
단테의 신곡 도서관에 여러 출판사 버전이 있었는데 내 손은 어쩔 수 없이 젤 두껍고 무거운 책을 집는거다 ㅠ 더 난감한건 신곡이 서사시 곧 시라는 사실! 아 , 난 시를 필사로 읽는다 ㅠ 30분간 5쪽을 손으로 읽었다. 남은 900여페이지를 이 속도로 읽으면 90여시간이 필요한 거구 하루최대 5시간씩 읽는다로 계산했을때 18일이 소요된다!. 일단 첫날 마저 5시간 추가했을 것을 포함하여ㄷㄷㄷ 앞으로 18일간 영화도 못보고 유튜브도 못보고 아침잠 줄여서 정신 바짝 차릴 일이다! 그런데 이런 긴장이 좋아지는 요즘이다~♥ 불교 이야기 인간이 만든 최고의 종교가 불교라는데 전적으로 동의한다. 이슬람교나 힌두교는 문화사의 영역이라 할 수 있지만 불교는 사상사에서 취급되는 것이 당연하다. 인간 한 개체의 생사화복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XmXr/btq1V297pmY/I9oXsuDlqkvAp0GkNkxbKk/img.jpg)
가비오따쓰 정체를 알수 없지만 표지에 저자의 경력이 화려하다. 번역자는 황대권? 「야생초편지」의 그다! 카테고리 (다음을 살리는환경책 145권) 가 주는 신뢰감도 크지만 이 정도 번역자라면~~~♥.♥ 본장은 시작도 안했는데 콜롬비아 공화국 지리공부부터다! 가비오따쓰가 콜롬비아 내의 어느 도시를 뜻하는구나! 난 또 새이름인줄 알았다는 ㅎㅎ 이 카테고리로 달리며 나는 이렇게 의미깊은 세번째 도시를 만난다. 첫번째는 아바나.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요시다 타로) 두번째는 꾸리찌바 (「꿈의 도시 꾸리찌바」. 박용남) 콜롬비아라는 반미게릴라나 마약카르텔로 치안이 불안하기로 유명한데 그 수도 보고타는 라틴 아메리카의 아테네라 불렸고 교육제도도 우수해서 문맹률도 낮다는 놀라운 사실을 여기 이 장을 통해 알게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qYyv/btq1TL15hE9/2KzwfvHrOE2Wsq3qGpxsuK/img.jpg)
『클라이브 폰팅의 녹색 세계사』 위대한 문명의 붕괴로 보는 환경과 인간의 역사 A New Green History Of The World -다음 100년을 살리는 환경책으로 달리기 34번째. 참 경건한 마음으로 읽었다 ㅎ 그래서 제목도 풀네임으로다가 ㅋㅋ 부제가 위대한 문명의 붕괴로 보는 환경과 인간의 역사라 했는데 시작은 이 지구라는 행성에서 생명이 최초 출현하는 과정에서 결국 문명 뿐 만 아니라 그 생명들이 또 어떻게 소멸되어가는 과정을 담은 지구 환경사 정도 될 것이다. 때문에 양이 600 페이지를 넘는다. 것두 호두 깨먹기 딱 좋을 양장본 ..이거 한권 가방에 넣으면 가방 금새 만원된다. 『사피엔스』 동시에 시작했다. 결국 같은 자료로 시작해서 (아마도) 비슷한 주제로 수렴될 두 역작들땜에 별도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NeOMG/btq1U8pbVlc/yW3JbqW7eNJCEsX0kCbSTk/img.png)
『마의 산』 . 제 1장 동서문화사 월드북 시리즈 93번째 토마스 만의 『마의 산』 난 토마스 만이라는 그 이름뿐 아니라 소설 제목도 처음 들었다. 아니 제목은 친근한 느낌이야 있다. 강화 마니산이 연상되었거든 ㅎ 분량면에서도 결코 만만치 않은 이 낯선 소설을 읽어야 할 이유는 단 하나! 내가 읽기로 ‘작정’했으니까! “『뇌를 훔친 소설가』 시리즌 어떻게든 끝마쳐야 하니까 ;;;;; 두렵고 떨리는 마음에서 처음으로 사전조사를 해봤다. 책 뒷면 작가 연보를 꼼꼼히 읽었는데 유대인이 아니라 독일인이다. (워낙에 서구문화사에 유대인의 역할이 컸으니까...특히 근현대사 이후로 ) 그리고 직전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읽었던 영향으로 토마스 만의 가계에 나오는 이름들이 전형적인 게르만 스타일인 것을 알 수 있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58Dy/btq1TMNpVQc/vnqVupxf54KQNy6lTk1epK/img.jpg)
≪주인공 없는 서사시≫ 초판 발행년도가 2003년이면 그리 오래되지 않았거늘 러시아어 발음 표기가 이상하다 그냥 경음화일세... 여기 티스토리는 처음이지만 다른 SNS에서 직전까지 달려오던 목록이다. (푸르스트의 는 건너뛰었다 ^^;;;; 그건 어디 내가 무인도에나 혹은 하얀병원에 장기 체류할 일 있을 때나 이 책 꼭 갖고 들어가기다 ㅋㅋㅋ) 내가 이 목록으로 달리며 늘 갖는 궁금증인데.... 에선 이 작품을 두고 뭐라 했더라? ㅎㅎ 조만간에 목록의 원출처를 다시 영접해야 하겄다. 책 속에 담긴 저자 안나 아흐마또바. 1889년에 태어나 1966년에 사망. 자화상인지 초상화인지 모를 시인의 그림들. 이 위대한 러시아 시인의 시들은 그냥 어느 시골마을 가련한 여인의 청승같아 보여도 시를 쓴 당시의 자신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624Y/btq1MqdN6qc/Kq4N0ihItM5kYsee7zo9zK/img.jpg)
「 뇌를 훔친 소설가」 속 참고 문헌 목록★ , 푸쉬킨 , 바이런 , 바이런 , 바이런 .그린필드 수전 푸슈킨 ,톨스토이 예브게니 자먀틴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데이비드 엘리 , 마르셀 프루스트 조나 레러 대니얼 샥터 안나 아흐마토바 토마스 만 스티븐 호킹 ( ) 알렉산드르 루리야 고골 가니가, 가자니가 니콜라이 게르켄 수전 그린피르 알바 노에 리처드 레스탁 유리외 로트만 블라디미르 마야코스프키 존 메디나 마리 바니치 모기 겐이치로 호르헤 보르헤스 다이앤 애커먼 마르코 야코보니 안톤 체호프 안톤 체호프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황농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