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책/시카고플랜 위대한 책 (49)
드라마 홀릭
https://cho9606.tistory.com/398 시카고플랜 004 & 037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옮김. 숲. 2009. 시카고 플랜 144개의 목록 중 004 『정치학』 기록을 뒤져보니 5년전에 읽었더군. 간신히 뗀 책인데 왜 또 끄집어 냈느냐? 아리스토텔레스가 궁금해졌거든! 읽다보니 플라톤도 궁금해졌다. 과학의 cho9606.tistory.com

사랑은 좋은 것을 영원히 소유하기를 바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향연] 따라서 사랑은 불사도 원한다는 결론이 날 수 밖에 없지요 -[향연] 그가 인간의 본성을 알고 사람들과 사귄다면 아주 좋은 사람과 아주 나쁜 사람은 둘 다 극히 드물고 대부분은 그 중간이라는 사실을 틀림없이 알게 될테니 말일세 : 소크라테스의 이 발언은 사실 아주 무섭고 슬픈 ,'영적 ' 교만에서 나온 발언이다 . 문제는 어느 인간도 자신을 극히 나쁜 사람이라고 보는 사람이 없으니까! ! 모두가 자신을 중간이상의 선한 사람이라고 인지하고 있다는 사실 ! 그러나 신약13권을 지은 예수의 마지막 사도 위대한 바울은 자신을 ' 죄인중의 괴수'라고 고백한다 그가 천국에 있는 지금도 그 고백은 현재형으로 읽혀지고 있다 이게 기독교 인간..

지도를 끼고 봐야 한다 ;;;; 무려 p 739에서 마지막 장 & 마지막 문장을 만난다. "이 해 여름에 이어 겨울도 지나고 나면 이 전쟁이 일어난지 만 21년이 될것이다." 드디어 끝이구나싶어 반가우면서도 섭섭한 마음도 어쩔 수 없다. 내가 좋아하는 주인공들과 얄미운 등장인물들의 결말이 궁금해서 이 긴 역사서를 다 못끝내고 죽은 저자 투퀴디데스가 원망스럽기까지 했다. 이 위대한 전쟁기의 영웅 중에 그라시아스, 니키아스, 헤르모크라테스가 가슴에 남는다. 헤르모크라테스의 최후는 어떠했을까? 얄미운 알키비데스의 최후는 또 어떻고?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단순한 전쟁기가 아니라 모든 고전과 명작이 그러하듯이 한권의 인생교과서이다 ● 그들은 진취적이며 계획을 세우고 계욕한 것을 실행하는 데 민첩합니다. 그러나..

아이스킬로스(Aeschylus, 525-456 B.C.)/오레스티아(Oresteia) 삼부작 또 그리스 신화이고 또 희랍 비극이다. 트로이 전쟁이 나오고 아가멤논이라는 이름이 낯설지 않다. 「안티고네」(소포클레스)를 통해 국가론을 배우게 한 전적이 있었음에도 시카고플랜 3년차에 또 나온 그리스 비극이 무엇을 말하려는가 처음엔 의심했다. 트로이전쟁을 승리로 이끈 승장 아가멤논이 (오딧세우스는 10년을 집에 못가고 방황하면서 「오딧세이아」 의 발판이 되었는데) 정작 집에 바로 잘 와놓고 , 게다가 적국의 공주를 전리품으로 데리고 의기양양하게 돌아와서는 목욕탕에서 아내에게 살해당한다. 그리고 그 아들이 아버지를 살해한 어머니를 직접 죽여 복수한다는 이야기. 헐~ 이게 뭐야 읽고 보니 아가멤논을 살해한 왕비 클..

이 책이 시카고 위대한 고전 시리즈 2부 마지막 책에 선정된 것을 책을 읽는 중에야 그 이유를 알겠더라 「미국독립선언서」 「소크라테스의 변명 」 등으로 시작된 이 추천도서 시리즈의 목적은 인문고전으로 무장된 교양인이 법과 정의에 대한 합리적 시민의식을 갖춘 최고의 대학지식인 곧, 최고의 미국 엘리트를 양성함에 있으니까. 그래서 허클베리핀의 모험은 철부지 말썽쟁이 허클베리의 모험을 통해 당시 무너져가는 미국의 기독교 가치와 가식을 비웃으며 무엇보다 흑백인종갈등에 대해 근본적으로 인류애적 관점에서 문제제기를 하는 너무도 훌륭한 시민교양서라는 것을 알겠다. 그런데 실제로도 이야기가 너무너무 재미있다. 난 영화로도 로드무미는 영 재미가 없지만 이 여행담의 고전은 괜히 고전이 아닌지라 익살과 재치와 반전과 스릴이..

딱하게도 개인의 자발성이 인정받지 못하고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지금 그대로의 인류의관습에 만족하고 있기때문이다.p130 ======================== 루소의 「인간불평등기원론」을 통해서도 깨달은 바인데 밀이 개성 혹은 자발성이라 부르는 이 속성이 실상 동시대 구성원들 눈에는 돌발성, 잔꾀, 성급함, 이기주의,싫증 , 유별남으로 비칠 수 있을 것이다. 밀은 그래서 이 속성을 '저항을 불러일으키는 방해물이라고 질시받는다' 고 했다. 나도 주변에 이런 '개성' 을 가진 사람 짜증난다. 그리고 나 역시 이런 성품을 갖고 있는 것에 불만이 많다. 창의롭기는 하되 끈기있고, 무던했으면 좋겠으며, 느긋했으면 좋겠고 또 조화를 추구하는 성품이길 참 간절히 바란다. 그런데 그런 성품으로 기계가 발명되지 ..

이 사진이 제일 잘생기게 나왔음 내가 칸트를 읽었다 !!! 아주 짧지만 의미 깊은 책.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았다. 이미 고등학교 정치경제 시간에 지루해할 건 다 미리 지루해 했으니까 ㅋ 지금까지 한 나라 안에서의 민주주의와 국가를 바르게 운영하는 방안들에 대해 알아왔다면 이제 개별국가도 전 세계 적으로 보자면 일개 구성원이니까 국가와 국가간의 평화에 대한 문제를 다룬 것이 순서상으로 맞겠지 (이걸 클립하는것을 까먹었다) 이로써 시카고플랜 2년차를 끝냈다. 지금껏 법과 정의와 국가와 세계의 질서에 대해 배웠으면 다음 3년차에서 이제 무엇을 배우게 될것인가? 몹시(라고 쓰고 한숨을 쉬며) 기대가 된다 ●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Zum ewigwn Frieden p05 ●한영향력 있고 계몽된 민족이 하나의 공화..

(「인간불평등기원론/사회계약론」 이 한 권에 루소의 저서 3권이 동시 수속 되어있다. 그러니까 사회계약론도 이때 한번 읽었던거다 ;,, 이번에 블로그 정리중에 알게 된 사실이다 ^^,,) 「인간불평등기원론」 한번 간신히 읽고 또 읽음. 맘에 안드는 내용이지만 뭐가 맘에 안드는지 잘 모르도록 이해를 못했어서 .....-.,-;;; "만일 태어날 장소를 선택할 수 있었다면 나는 인간능력의 범위로 한정된, 이를테면 충분히통치할 수있는 크기를 가진 사회, 그리고 각자가 그 일을 충분히 해낼 수 있으므로 누구나 자기가 책임짐 직무를 다른 사람에게 떠맡기는 올은 없는 사회를 택했을 것입니다." p11 1. 원시상태에서 인간이 가장 기초적인 수준과 크기의 사회를 형성하기까지 아주 오랜시간-수천년을 상정하는 것의 오류..